볼거리 읽을거리/건강 정보

역류성 식도염 자가진단법 예방법, 이건 진짜다!

교자만두 2017. 5. 2. 15:00
반응형

역류성 식도염 자가진단법 예방법, 이건 진짜다!

 

역류성 식도염. 이제 더이상 우리에게 생소한 병이 아닙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8년부터 5년간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08년 199만명에서 지난해 336만명으로 69% 증가한 수치로 우리 주변에서 쉽게 역류성 식도염 증상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렇듯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는 역류성 식도염은 위 속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 내로 역류하면서 생기는데, 일상생활에 많은 지장을 줍니다. 또한 무턱대고 방치하게 되면 또 다른 합병증으로 발전하게 되니 빠르게 발견하고 처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역류성 식도염은 무엇인지 그 예방법은 무엇인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역류성 식도염이란?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발생하는 식도의 염증으로 일만적으로 그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여러 불편감을 총칭하여 일컫습니다. 일반적으로 이야기되는 식도염은 대부분 이에 속하며, 비만, 음주, 흡연 등이 악화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과 증상

 

원인 : 정상적인 경우 위식도 경계 부위가 닫혀 있어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지 않으나 조절 기능의 약화로 경계부위가 완전히 닫혀 있지 않아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함으로써 이에 따른 불편감이 나타답니다. 이와 같은 현상이 지속되는 경우 만성적인 역류가 발생하여 위산에 의해 식도염이 발생합니다.

 

증상 : 위산이 식도로 역류함으로써 가슴 쓰림, 가슴의 답답함, 속쓰림, 신트림, 목에 이물질이 걸린듯한 느낌, 목쓰림, 목소리 변화, 가슴 통증 등이 발생합니다.

 

## 대표적인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과식 - 과식을 하게 되면 위의 기능을 떨어뜨리게 되고 음식물이 위 안에 오래 머무르게 되어 위산과 함께 역류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음주 - 역류성 식도염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알코올이 위에 들어가면 위 벽을 자극하는데, 이것이 역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카페인 - 카페인의 경우 식도조임금을 느슨하게 해 주어 역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산도 높은 음식 - 산도 높은 음식을 많이 먹게 되면 위산 분비가 많아저 역류 시 안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식후 바로 눕기 - 식후에는 위 속에 음식물이 들어오면서 위산 분비가 자연스럽게 늘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취침 전 2시간 내에는 음식 섭취를 하지 않으시는게 좋습니다.

 

 

 

 

 

## 역류성 식도염 자가진단법

 

 

 

**위 자가진단 표를 보았을 때 체크 갯수가

 

1~2개 건강한 상태  / 3~5개 주의 필요  / 9~10개 위험

 

입니다. 따라서 갯수에 맞에 생활습관 및 식습관을 조절하셔야 합니다.

 

 

##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방법

 

그렇다면 현재 증상을 완화시킬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1. 과음, 과식을 삼간다

 

2. 식사 후 곧바로 눕지 않는다

 

3. 취침 시 높은 베개를 사용한다

 

4. 복부 비만은 역류성 식도염의 가장 큰 적

 

5. 술은 NO!

 

 

보면 아시겠지만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의 정 반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실 우리들은 모두 몸을 건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다 알고 있지만 실천 또한 힘듭니다. 역류성 식도염도 마찬가지 입니다. 한번에 없애려고 하시지 마시고 조금씩 조금씩 생활 습관을 고친다면 자연스럽게 역류성 식도염 증상은 완화될 것입니다.

 

지금까지 역류성 식도염이 무엇인지, 그 자가진단, 원인과 해결책을 알아보았는데요, 어떠신가요? 도움이 되셨나요? 워낙에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질병이라고도 부르지 않는 것이지만, 무턱대고 방치하면 더 큰 병으로 올 수 있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주의있게 관리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이상으로 건강지키미 교자만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